우리나라의 잊혀 질 권리는 지금은 어디에 있는 가?
정보통신망법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
제44조의2(정보의 삭제요청 등)
①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일반에게 공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정보로 사생활 침해나 명예훼손 등 타인의 권리가 침해된 경우 그 침해를 받은 자는 해당 정보를 처리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침해사실을 소명하여 그 정보의 삭제 또는 반박내용의 게재(이하 "삭제등"이라 한다)를 요청할 수 있다. <개정 2016.3.22.>
②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제1항에 따른 해당 정보의 삭제등을 요청받으면 지체 없이 삭제·임시조치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고 즉시 신청인 및 정보게재자에게 알려야 한다. 이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필요한 조치를 한 사실을 해당 게시판에 공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운영·관리하는 정보통신망에 제42조에 따른 표시방법을 지키지 아니하는 청소년유해매체물이 게재되어 있거나 제42조의2에 따른 청소년 접근을 제한하는 조치 없이 청소년유해매체물을 광고하는 내용이 전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그 내용을 삭제하여야 한다.
④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제1항에 따른 정보의 삭제요청에도 불구하고 권리의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거나 이해당사자 간에 다툼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을 임시적으로 차단하는 조치(이하 "임시조치"라 한다)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시조치의 기간은 30일 이내로 한다.
⑤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필요한 조치에 관한 내용·절차 등을 미리 약관에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⑥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운영·관리하는 정보통신망에 유통되는 정보에 대하여 제2항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하면 이로 인한 배상책임을 줄이거나 면제받을 수 있다.
[전문개정 2008.6.13.]
잊혀질 권리에 대한 인식
긍정론 - 온라인 정보를 개인이 더 이상 통제할 수 없다.
과거로 인한 장래의 제약은 부당하다.
정보의 자기결정권을 확립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피해자 구제
폭증하는 데이터의 처리 및 유지비용의 절감
부정론 - 관련법이 악용될 수 있다.
국민의 알 권리 침해한다.
표현의 자유 침해
언론의 자유 침해
정치인 등 공인의 과거세탁으로 공익을 침해
책임없는 무분별한 정보의 범람
'자유로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박사 학위 계획시 준비사항 (0) | 2018.09.16 |
---|---|
유태인의 자녀 인생좌표 세우는 법 (0) | 2018.01.24 |
시니어 SW전문가 양성과정 수료 (0) | 2017.11.23 |
엔트리로 코딩하기 (0) | 2017.09.24 |
번역은 인간이 인공지능 이겼다. (0) | 2017.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