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정보

자살예방상담사

O Chae 2014. 1. 17. 08:03

1.자살예방상담사란?

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에서 자꾸만 증가하는 자살률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예의주시하고 있는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라는 것이다. 'OECD의 헬스데이터 2012'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09년보다 무려 5.1명이 늘어났으며 하루 평균 42,6명이 자살을 하고 있다. OECD 국가 평균인 12.8명보다 무려 3배 가까이 높은 수치이다.

이처럼 사회 전반적인 자살예방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가운데, 국민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이를 전문으로 상담하는 자살예방 상담인력이 등장했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에게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주는 그들, 자살예방상담사라는 직업이다.

2.자살예방상담사가 하는 일

자살예방상담사는 자살을 의도하는 사람과의 전화나 인터넷, 또는 직접적인 상담을 통해 소중한 생명들을 자살이라는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게끔 돕는 일을 한다.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에서 근무할 경우는 24시간 위기상담전화인 블루터치 핫라인, 그 외에 민간자살상담 대표전화 생명의 전화, 보건복지부 운영상담전화, 보건복지콜센터 희망의 전화 등으로 오는 전화를 받는 위기관리 업무를 한다.

블루터치 핫라인의 경우 전화가 오면 자살예방을 위한 1차 상담을 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직접 만나 상담을 합니다. 그런 다음 8주간의 위기관리를 가지고 한 달에 한 번씩 내담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 위급할 경우에는 경찰이나 소방관, 응급의료팀과 함께 자살 위기 현장으로 응급출동을 나가 자살을 막을 때도 있다.

3.자살예방상담사의 교육과 훈련

특별한 자격이 없는 일반인들의 경우는 자살예방 관련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좋다. 수강생들은 자살방지 이론 교육을 들은 뒤에 일선 학교나 각종 단체에 파견되어 자살예방강사로 활동할 수도 있다.

단, 전문적인 상담사가 되려면 보통 석사 이상의 자격을 갖춰야 한다. 인간의 심층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다루는 직업인 만큼 상담심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해야한다. 또한 대학에서 관련학과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상담 관련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지식을 습득하면 상담전문가로 진출할 수 있다.

특히 상담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유능한 전문가의 지도와 조언 아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상담 경험을 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자살예방상담사의 현황과 전망

국내에서 자살예방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곳은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외에도 지자체 내 정신보건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등이 있다.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면 지역사회 내 기관에서 자살예방 상담 및 교육 업무를 할 수 있는데.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의 경우에는 연 평균 약 2만여 건의 전화가 걸려오고 있고, 응급출동도 계속해서 늘고 있다.

특히 2012년 3월 31일부터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이 시행되었는데, 이 법률에는 30명 이상의 사업장은 자살예방교육을 받게 되어 있다고 나와 있다. 때문에

자살예방교육을 받고자 하는 단체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자살예방교육협회 등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자살예방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죽음을 다짐했던 사람들에게 다시 '삶'이라는 의지를 심어주고 새로운 생명을 주는 그들! 자살률 세계 1위라는 오명을 덜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애쓰는 자살예방상담사, 정말 자랑스러운 직업이다.

5. 자살위험에 처한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자원목록

한국자살예방교육협회 korea suicideprevention education association

cafe.daum.net/suicideprevention

한국자살예방협회 www.suicideprevention.or.kr

중앙자살예방센터 www.spckorea.or.kr

자살예방한국협회 www.suicidepreventions korea association

한국생명의 전화(기독교) www. lifeline.or.kr

자비의 전화(불교) www.jabi24.or.kr

한마음한몸운동본부(천주교) www.obos.or.kr

6. 24시간 가능자원

자살 및 정신건강위기 상담 전화 1577-0199

보건복지콜센터 희망의 전화 129

헬프콜 청소년 전화 1388

생명의 전화 1588-9191

학교폭력근절 긴급전화 117

응급서비스 112,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