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강의

심리장애와 치료

O Chae 2012. 11. 16. 11:30

 

심리장애와 치료

심리치료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심하게 나른한 제임스는 하루에 보통 10~12시간 잠을 잔다.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을 피하느라 불규칙하게 출근하며 예전에 즐겼던 활동에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않는 다. 의사는 그의 뇌에서 화학물질의 불균형으로 그가 우울증을 앓고 있다고 말했다. 의사는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을 처방하였다. 2주 후 의사를 만난 제임스는 자기가 활기를 되찾았고 여 가지 일을 즐긴다고 말했다.(Wampold, 2007)

 

1. 심리장애(psychological disorder)

* 이상행동(abnormal behavior)은 지각, 기억, 인지와 같은 지적 기능이나 정동, 행동의 비정상성을 말한다.

심리장애를 가진 사람은 착시가 아니라 환각을, 왜곡된 기억이 아니라 심한 기억편향을, 정상적인 믿음이 아니라 현실감 없는 믿음(예 : 망상)을 갖고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한다.

* 심리장애를 판단하는 기준

-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의 문항들에 대한 반응이 정규분포의 평균에서 2표준편차 이상 떨어진 사람들

- 범불안장애, 고소공포증, 알코올 중독 등 부적응성

- 이해하기가 힘들고 타인에게 불편하고 통제력을 상실

- 주관적 고통을 겪음

정신장애 진단 및 분류체계(DSM Diagnostic and Statisti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에 의한 면접

* 주요 심리장애

불안 - 범불안, 공포, 공황(sudden anxiety), 강박충동

기분 - 기분저하(경우울), 주요우울, 조울

성격(인격) - 자기도취적, 분열성, 분열형...

외상후 스트레스(PTS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정신분열증

* 사랑, 일 그리고 현실과의 관계에서 장애

정상 - 불안증 : 관계유지, 직장 근무. 현실 파악

성격장애 : 지속적 관계 힘듦, 계속 근무 힘듦, 현실파악, 관계를 잘 못 해석

정신증 : 관계유지가 매우 힘듦, 무직상태, 현실/비현실 구분 힘듦, 망상, 환각 등

 

2. 심리치료

* 성장의 촉진

성에 대한 미숙한 환상이나 도착에서 벗어난다.

초자아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롭게 된다.

* 자기체계의 성숙

자신과 남을 있는 그대로 수요한다.

* 인간관계 성숙

자신의 비현실적 기대, 왜곡된 자신을 깨닫는다.

* 현실의 수용과 감사하는 마음

전지전능한 환상에서 자유롭게 된다.

* 성숙한 대처방안

문제해결 방안을 찾는다.

* 체험의 충만감과 생동성

어린애처럼 느끼고, 긍정 감정을 가진다.

* 통합적 수용력

합리성, 비합리성의 긴장을 이긴다.

* 자기분석력

방어기제를 체험, 통찰하고 행동으로 나타낸다.

 

* 정신역동

통찰과 치료자 - 환자의 관계로 성격 변화를 추구한다.

* 인지치료

부적응적인 행동을 여러 기법으로 수정하여 행동 및 인지의 변화를 추구한다.

* 인지

역기능적 태도와 행동 배후의 문제되는 사고방식을(예: 자동적 사고) 바꾼다.

* 인본주의

내적 감정의 순수성과 공감성을 회복한다.

 

* 심리치료의 효과는 치료법에 따라 다른가? 비슷하다.

* 심리치료는 가짜 심리치료(placebo)보다 효과적인가? 그렇다.

* 심리치료의 효과는 약물치료에 비해 어떤가? 불면증, 우울증 등에서 약물치료보다 효과있었고 다른 심리장애에서 약물치료와 비슷한 효과하다.(Barlow, 2004)

* 우울증의 경우 인지치료는 재발 위험을 줄이고 약물치료와 비슷하거나 더 나은 효과를 보인다.

* 그러나 심리치료에 의해 인지구조와 과정이 지속적으로 변하기 힘들다.

多生習氣?(Rachman. 2009)

 

3. 약물치료와 인지치료의 비교

스트레스 상황에서 충동 억제 실패, 불면증, 우울증, 제대군인의 질환 등에서 심리치료가 약물치료나 다른 치료보다 더 효과가 있었다.

다른 심리장애에서 심리치료는 약물치료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우울증 치료에서 심리치료와 약물치료가 비슷한 효과를 낸다.

 

4. 주요우울증

* DSM-IV에 수록된 기본 증상

우울한 기분, 흥미/쾌감의 상실, 식욕의 변화, 수면의 변화, 피로, 무가치감, 죄책감, 인지/심리운동 문제, 자살 충동

* 재미한인들은 재미 일본인, 중국인, 필리핀인들보다 주요우울증에 더 많이 걸린다.(Kuo, 1984)

뉴욕에서 재미한인의 자살율이 높은 까닭은 가계의 악화, 성취에 관한 지나친 집착과 완벽주의, 실패를 가족의 수치로 생각하는 사고방식 때문이다.(2009년 12월31일 뉴욕 타임스)

* 심리장애 대한 동양인의 사고방식

- 몸과 마음을 구분해서 생각하지 않는다.

- 가족, 사회와의 조화를 강조해서 정동의 과도한 표현을 금한다.

- 개인적인 허약함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5. 문화적 특수적 심리장애 : 화병

* 화병 분노/화와 관련된 신체, 행동적 증상.

부당한 상황의 희생물이 된 데 대한 반작용적인 화. 그러나 조화로운 가족, 사회관계를 유지하려면 눌러야 한다. 억제된 화가 쌓여 마침내 질환으로 발전한다.

메커니즘 억제/억압, 철수, 신체화, 구강만족

증상 주관적 분노, 억울, 우울, 불안, 분노와 관련된 신체부위가 뜨겁다.(얼굴, 가슴이 막히고, 더위 못참고, 숨막히고, 마른 구강, 불면증...)

신체로 표현된 우울 : “머리가 복잡하다(기분이 안 좋다.)” “머리를 싸매다(마음이 아프다)” “머리가 아프다(기분이 좇지 않다.)” “머리가 무겁다(우울하다.)”,“머리를 짓누르다(우울이 마음을 짓누를다.)” 우울은 신경쇠약.

문화적 사고방식 : 우울은 몸이 아픈 것이므로 의지와 단련으로 정동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정동적, 인지적으로 우울을 나타내는 어휘가 없어 치료가 어렵다.

 

6. 심리치료의 새 개념 : 증상관리

* 뇌의 복잡한 다층구조 (예 : 신경원, 하위영역, 영역) 때문에 약물치료와 심리치료의 영향을 받는 구조가 다르다. => 각 치료법이 필요하나 충분하지 않다.

* 심리장애는 약물치료나 심리치료만으로 제거되지 않는 다.

심리장애는 효과적인 대처 방략들을 조합해서 관리되어야 한다.(symptoms management) 문화특수성이 고려된 심리치료가 포함된 장애관리가 필요하다.

* Linehan과 Myrick은 완치가 힘든 심리장애(경계선 성격장애, 정신분열-정동장애)와 싸우고 관리하기 위해 여러 대처 방략을(삶에 의미 있는 일에 몰두. 약물복용, 심리치료, 신앙심이나 시회적지지, 현실 점검과 기분조절, 심리요법을 개발...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심리장애란 극한의 스트레스를 강인하게, 창의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 다른 사례 : Dr. Saks - 정신분열증 환자인 USC법대교수

 

<김정오 교수 강의>

 

'심리학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음 중심의 정리  (0) 2012.11.23
기억 - 마음의 창고  (0) 2012.11.17
스트레스의 대처  (0) 2012.11.09
애착과 신뢰  (0) 2012.11.02
잘못 읽는 마음의 상태  (0) 2012.10.26